MAIN>Research
서울대학교 '공유도시랩'과 '생태계획연구실'에서 과거에 수행했던 연구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국가연구과제를 수행하다보면 한 가지 전공분야가 아닌 여러 분야의 통합적 문제해결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 예로, 지역개발사업 수립에 있어서 환경에 끼칠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는 작업을 거쳐 사업의 타당성 검토로 넘어가며, 심의를 거친 후에야 비로소 구체적인 지역개발계획으로 이어지므로, 법률적 요건이 충족되었다하여 무분별한 개발이 가능한게 아니고 환경생태적 영향에 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부동산에 관한 연구'라 하면 사람들의 흔한 인식은 공인중개사 시험과목 중 부동산학개론의 금융파트에나 나올 법한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투자자본수익률(ROI), 모기지(mortgage)와 같은 용어나, 아니면 학군(學群), 상권(商圈), 저당권 및 유치권 등의 권리분석에만 초점을 두려는 경향이 강하나, 실제 생활의 장소으로서 '쾌적성'에 관한 평가는 순위에서 밀려왔습니다. (기존 관점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저희 사무소에서는 부동산을 단순히 자본적 가치에만 국한시켜 '재화'의 한 종류로서만 인식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삶의 질적인 측면에서 부동산이 가진 의미를 재해석하고 이를 어떻게 평가하고 개선해 나갈 것인가를 과거에 수행했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제시하겠습니다.
⇒ 완충녹지 분석 1편 / ⇒ 위성영상 분석 전편 ⇒ 완충녹지 분석 2편 / ⇒ 위성영상 분석 후편 ⇒ 완충녹지 분석 3편 / ⇒ 지역상권 분석 전편 ⇒ 완충녹지 분석 4편 / ⇒ 지역상권 분석 후편 ⇒ 완충녹지 분석 5편 / ⇒ 근린공원 영향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