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ji Real Estate

MAINSimulationBuilding Simulation>Ventilation


환기시설 모듈

신축 건물에 필수적인 환기 시스템


종래의 건축물은 구성자재와 공정에 따라 외벽과 창문에 약간의 틈새가 생길 수 있었고, 따라서 굳이 환기를 하지 않아도 실내 공기가 외부와 통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지어지는 건물은 방열성과 방음성이 뛰어난 만큼 틈새가 적으므로 건물 설계에서부터 환기를 어떻게 할지 미리 계획해야 할 정도에 와있습니다.

한편, 실내환기를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유해물질이 실내에 축적됩니다.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화학물질이 실내에 축적되면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을 일으킬 수 있으며, 외출시 묻어들어오는 꽃가루와 미세먼지(PM2.5) 등의 알레르기 원인성 물질도 실내에 쌓입니다.

• 결로로 인한 곰팡이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등유보일러나 팬히터와 같이 실내 공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때우는 난방기구를 사용하면 실내에 수증기가 방출됩니다. 이로부터 결로가 생겨나면 기둥이나 벽에 곰팡이가 생기고 이후 썩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 공기가 순환하지 않음으로 호흡이 어렵거나 두통이 생기는 원인이 됩니다.
외부와 차단된 실내공간은 시간이 갈수록 인간의 호흡에 의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올라가므로 이로 인한 두통이나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Ventilation

환기설비의 종류


환기설비에는 주로 다음의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제1종 환기방식: 흡기와 배기 양측 모두 팬(Fan)모터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각 방마다 덕트로 연결된 흡기팬과 배기팬을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에 용이합니다.

• 제2종 환기방식: 흡기는 팬(Fan)으로 진행하지만, 배기는 배기구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기계적인 장치사용을 배제하는 방식을 일컫습니다. 기계적으로 흡기를 진행하므로 실내의 공기압을 조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어려우므로 무균실이나 수술실, 가공식품공장 등, 일정 수준의 청결도가 요구되는 클린룸에 적합합니다.

• 제3종 환기방식: 흡기는 흡기구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하는 대신, 배기는 팬(Fan)을 통해 기계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각 방마다 흡기구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단순하고 저렴한 시스템으로서 널리 이용됩니다.

Forest

빌딩 시뮬레이션 페이지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