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ji Real Estate

MAINSimulationBuilding Simulation>Parking Area


주차장 모듈


차량이 들어가는 입구와 출구가 분리되어있는 형태를 2-Way 주차장이라 부릅니다. 이에 반해, 주차장의 입구와 출구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된 형태를 1-Way 주차장이라 부르며 정체가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도로에서 차량이 진입 가능한 1층이 계단실과 기둥 위주로 구성되어 주로 주차공간으로 사용되는 필로티 건축물의 경우, 주차장에서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통해 건물 내부로 바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필로티 건물의 경우, 편의점이나 패스트푸트점이 1층에 입점해있다면, 차량 승하차 및 환승 과정에서의 동선에 따라 드라이브 스루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arking Area

• 위 그림에서 보이듯, 차가 도로 우측으로 진입하여 1층 필로티 주차공간을 지나 다시 돌아나오는 설계의 경우(파란선), 편의점이나 패스트푸드가 엘리베이터보다 우측에 위치해있다면, 차에서 내린 건물이용객이 엘리베이터까지 이동하는 경로에서 미리 편의점을 지나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동고객이 증가하지만, 엘리베이터 이용객의 입장에서 보면 개별 주차공간으로부터 엘리베이터까지의 수평거리가 증가함과 동시에 편의점 이용객의 동선까지 겹쳐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단점이 나뉩니다.


건물 인프라


건축물에 있어서 지하층과 주차장으로 쓰이는 지상층은 연면적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용적률 산출 시 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점을 반영하여 최근에 이루어지는 건축물 증개축 현황을 살펴보면, 지상 1층을 필로티 구조로 하여 이곳에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주차공간을 확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건물의 건폐율과 용적률은 해당 건물이 속한 용도지역의 규제를 받음과 동시에, 인접 도로의 폭과 지자체 조례 및 개별 건물의 구조에 따른 영향을 받습니다.

• 따라서 용적률과 건폐율로 대표되는 건물의 발전 정도는 해당 건물이 속한 개별 부동산에 대한 투자와 비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서비스, 물류, 보안 항목으로 나누어 각 항목의 수준을 수치화 시킨 후 이를 전부 곱하여 건물 레벨로 정의하였고, 이를 주차수용량과 비례하는 성질로 나타내었습니다.

Parking Area Management

빌딩 시뮬레이션 페이지로 돌아가기